누군가의 떠남을 애도하는 것은 다른일보다 더 조심스러워야하고 예절을 지켜야합니다. 장례식장에서 지켜야 할 예절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부의금 , 조의금을 낼 때 내 이름은 어디에 어떻게 적어야하는지 한자는 어떤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부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똑같이 장례식장에서 내는 것이지만 사실 부의금과 조의금의 의미는 조금 다릅니다.  


부의금은 상가에 장례비용을 돕기 위해서 부조로 내는 돈이나 물품을 의미하며 조의금은 고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나의 마음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부의금 봉투 앞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한글로 써도 무방하지만 한자로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부의, 근조 , 추모입니다. 뜻은 조금씩 다르지만 전달하고자하는 뜻은 같기때문에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부의(부의 부/거동 의)의 뜻은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입니다

근조(삼갈 금/조상할 조)의 뜻은 고인에 대한 슬픈 마음을 나타냅니다.

추모(따를 추/그릴 모)의 의미는 고인을 그리며 슬퍼하는 마음입니다.


부의금 봉투의 뒷면에는 자신의 이름을 씁니다. 조의금 봉투 뒷면 왼쪽 하단에 세로로 이름을 기입하며 이름을 쓸 때는 붙여쓰는 것보다는 글자간의 간격을 조금 두고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름도 한글과 한자 둘다 상관없지만 흘림체나 그 수가 다양하므로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정리하는 입장에서 편리합니다.회사 등 특정 소속으로 가게되는 경우 이름 옆에 소속된 곳의 이름을 세로로 적으면 됩니다. 


부의금 봉투는 색이나 무늬가 없는 하얀 봉투를 사용해야하며 대부분 장례식장에서 준비해두기때문에 깜박하고 챙기지 못했더라도 가서 작성해 드리면 됩니다. 


부의금 액수는 짝수로 하면 안되고 3만원 ,5만원 등 홀수로 내는 것이 관례이며 10만원 단위는 3과 7을 더해서 홀수로 나뉩니다.

부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는 자리인만큼 사소한 예절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겠죠?


반응형